oogle-site-verification" content="zSzKrT1IRzH2aD8Elu-wGG42gtRJpvBj54gkbL4eseQ" />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11판 6장 연습문제 풀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11판 6장 연습문제 풀이

Study

by KeepWeird 2019. 7. 15. 11:32

본문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11판 6장 솔루션

6장. 이자율의 위험구조와 기간구조

1. 정크 본드는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하는 고위험 & 고수익 채권입니다. 고위험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쓰레기라 불리지만, 높은 위험 프리미엄이 있기에 위험추구형 투자자들은 이같은 채권을 구매합니다.

2. C 등급 채권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는 위험 회피형 투자자들은 이 채권을 구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 ↓ -> Baa 채권에 비해 이자율이 ↑

3.미 재무부의 채권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zero에 가깝고, 유동성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 채권에 대한 수요가 크고 이자율이 낮습니다.

4. 정부 지원 이전의 AIG 회사채에 대한 수요는 낮아지고 이에 따라 이자율이 올라야만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 지원 발표 이후,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아짐에 따라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수익률이 낮아졌을 것입니다.

5. 경기가 호황일 때에는 파산하는 기업이 적고 회사채에 대한 채무불이행 위험이 적어 리스크 프리미엄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경기가 침체 기간일 때에는 기업 채권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위험 프리미엄은 증가한다.

-> 회사채의 위험 프리미엄은 경기 침체기에 증가하고 호황기에 하락하는 성격을 띤다.

6. 참이다. 다른 만기 채권들이 해당 채권의 밀접한 대체재가 된다면, 이 채권의 이자율 상승은 서로 다른 만기의 채권에 대한 기대 수익률을 너무 멀리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채권의 이자율도 상승시킨다.

7. <생략>

8. 정부의 보증은 회사채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줄여줍니다. 재무부 증권에 비해 더 매력적인 상품이 됩니다.

-> 회사채에 대한 수요 ↑ & 재무부 증권에 대한 수요 ↓

-> 회사채의 이자율 ↓ & 재무부 채권에 대한 이자율 ↑

9. 회사채에 대한 중개수수료 ↓ -> 유동성 ↑ -> 수요 ↑ -> 위험 프리미엄 ↑

10.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회사에 심각한 위기를 불러왔습니다. 그 결과 금융 시스템의 안전성, 건전성에 불확실성이 커졌고 이는 금융 회사의 건전성에 대한 회의로 이어졌습니다. 자연스레 상대적으로 안전해보이는 비금융 회사의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두 기업 어음간 수익률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11. 지방채의 면세 폐지 -> 지방채 수요 감소 -> 재무부 채권 수요 증가

-> 지방채 이자율 상승 & 재무부 채권 이자율 감소

12. 신용 평가 기관은 고객들에게 지나치게 낙관적인 신용등급을 줄 동기가 있었기에 이해관계 충돌이 이었습니다. 비슷하게 대출 기관과 주택 가치 평가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방식은 주택 검사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계속 일 할 수 있게끔 과하게 낙관적인 진단을 하는 동기를 제공했습니다. 동시에 주택 담보 대출자역시 집의 가치가 유지되는 한 계속 대출 상품을 만들고 팔 수 있었기에 이득을 보았습니다,

13. 거짓이다. 이자율 기간구조의 기대이론에 따르면 1년 만기 채권에 2년을 투자하는 것이의 기대 수익은 it + i^e t+1 이다. 이는 2it와 같다. 1년 이자율이 2년 이자율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1년& 1년 중 1년 만기 채권의 이자율이 2년 만기 채권의 예상 이자율과 같을 때에만 문제의 진술이 참이기에,, 13번 답은 거짓.

14. 30년 만기 채권이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 앞으로 수익률 곡선에 어떤 일이 발생할까?

a. 이자율 기간구조 기대이론

30년 만기 채권의 매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다른 만기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것들이 완벽한 대체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다른 만기 채권들은 더 높은 가격 &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 수익률 곡선은 평평하다 마지막에 가파르게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b. 이자율 기간구조의 분할시장이론

각 만기 채권들은 독립적인 시장이며, 연관되지 않는다는 가정. 즉 대체재가 아님. 따라서 장기 채권의 변동은 단기 채권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분할시장이론 아래 수익률 곡선은 30년 만기 채권의 이자율만 올리고, 수익률 곡선은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15. 투자자 A는 낮은 기대수익을 받더라도 단기 채권을 선호한다. 유동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일 것.

투자자 A는 분할시장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투자자 B는 기대수익을 극대화하고 있지만 5년, 10년 채권을 무차별적으로보기 때문에 특정 채권에 대한 선호가 없다. 두 채권이 이 투자자에게는 완벽한 대체재임으로 투자자 B는 기대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16. 수익률 곡선이 오른쪽과 같을 때

평평한 구간 -> 단기 이자율이 가까운 미래에 적당히 하락할 것

가파른 상승 구간 -> 향후 이자율이 오를 것

금리와 예상 인플레이션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수익률 곡선을 보면

미래 인플레가 적당히 하락하지만 나중에 상승할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17. 수익률 곡선이 오른쪽과 같을 때

초반 상승 구간 -> 단기 이자율이 가까운 미래에 적당히 상승할 것

하강 구간 -> 단기 이자율이 가파르게 떨어질 것

수익률 곡선의 하강은 오직 단기 기대 이자율이 떨어질 떄에만 생김.

금리와 예상 인플레이션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수익률 곡선을 보면

미래인플레가 적당히 상승하다가 나중에 급락할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18. 수익률 곡선이 평균적으로 수평 -> 유동성 프리미엄에 대해 무엇을 의미하는가?

단기 채권에 비해 장기 채권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이 없다는 것이며, 이는 기대이론의 가설과 통합니다.

19. 장기 이자율이 높다는 것은 예상되는 미래 단기 이자율의 평균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미래 이자율이 커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 미래 단기 이자율이 떨어지는 것은 미래 단기 이자율의 평균 ↓을 말하고 -> 장기 이자율도 떨어지기에

-> 수익률 곡선의 기울기는 떨어질 것

21.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 6개월동안 재무부 장기 증권 매입 3000억 달러.

-> 많은 양의 중장기 국고채 매입 -> 특정 만기 국고채의 유효 공급 ↓ -> 가격 ↑ & 수익률 ↓

-> 중장기 수익률 저하 -> 중장기 구간의 수익률 곡선이 내려갈 것.

22. 그리스 정부의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아지면서, 미국 국채에 비해 그리스 채권에 대한 수요 ↓

그 결과 미국 부채에 비해 그리스 부채의 낮은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리스크 프리미엄이 붙어 수익률이 올랐다.

23.

둘 다 만기가 길 수록 만기수익률이 가파르게 증가

24.

a) 설명 생략.

b) 수치상으로는 수평에 가까운 하락 기울기 곡선 모양이 나와야하지만, 장기채권보다 단기채권을 선호한다는 것은 유동성 프리미엄이 붙어야 한다는 의미이기에 기울기가 수평 혹은 오히려 완만하게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25.

-

혼자 풀거나 누군가의 지혜를 빌어 작성한 자료입니다. 비상업적 자료 활용과 이의 제기는 환영합니다.

또 제 솔루션을 활용한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